-
청년도약계좌 VS 청년희망적금, 뭐가 더 좋을까?재테크 기초 2025. 5. 15. 09:00
청년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봤을 두 가지 재테크 상품이죠?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인데요. 정부에서 지원하고, 이자도 높고 조건도 좋아 보이는데, 도대체 뭐가 다른건지 그리고 나한테 맞는 상품은 어떤것일지에 대해 오늘은 두 가지 상품을 실제 사례와 함께 대상, 조건, 혜택, 이자율, 정부지원금까지 전부 비교해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의 차이 요약
구분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 출시 시기 2023년 2022년 만기 5년 2년 가입 대상 만 19세~34세 + 소득요건 충족 만 19세~34세 + 소득요건 충족 저축 한도 월 최대 70민원 월 최대 50만원 지원 방식 납입 비례 정부기여금+비과세 이자에 대한 정부 추가지원+비과세 최대 혜택 최대 5,000만원 수령 가능 이자 지원 최대 36만원 청년 도약계좌란?
정부와 함께 돈을 모으는 5년 만기 적립식 저축 계좌입니다. 매달 내가 낸 저축금액에 따라 정부가 추가로 '기여금'을 입금해주는 구조입니다.
가입조건
- 연령: 만 19세~34세
- 개인소득: 연 7,500만원 이하
- 가구소득: 중위소득 180% 이하
- 근로 또는 사업소득자만 가능 (무직, 학생 제외)
저축구조
- 월 납입금: 40만원 또는 70만원 선택 가능
- 만기: 5년
- 정부지원: 소득에 따라 최대 월 40만원 기여금
- 이자 소득 비과세 (비과세 종합저축)
특징 요약
- 총 수령액 최대 5,000만원 이상
- 단, 중도 해지 시 정부기여금 전액 환수
- 주거래은행(국민, 농협, 우리, 신한, 하나 등)에서 신청 가능
청년 희망적금이란?
2년 동안 저축하면 정부가 이자를 대신 일부 지원해주는 적금입니다. 지원금은 저축한 원금이 아닌, 이자에만 추가지급됩니다.
가입 조건
- 연령: 만 19세~34세
- 개인소득: 연 3,600만원 이하
- 총 급여 기준 약 월 300만원 이하
- 근로 또는 사업소득자만 가능 (단기근로자도 가능)
저축 구조
- 월 납입금: 최대 50만원
- 만기: 2년
- 정부지원: 1년차-저축액의 2% 지원 / 2년차-저축액의 4% 지원
- 이자 소득 비과세
특징요약
- 총 정부지원 최대 약 36만원 수준
- 단기 저축 + 초저금리 시대에 효과적인 보완책
- 대부분 은행 앱에서 신청 가능
청년 도약계좌 예상 수령액 시뮬레이션 (5년 기준)
월 저축액 정부지원 (예상 만기 시 총 수령액 (이자 포함) 40만원 약 14만원/월 약 3,240만원 70만원 약 40만원/월 약 5,000만원 이상 청년희망적금 2년 만기 시뮬레이션 표 (2025년 기준)
월 저축액 납입 총액 (24개월) 예상 이자 (세전 5%) 정부 이자지원 총 수령액 (이자 포함) 10만원 240만원 약 12만원 약 10만원 약 262만원 20만원 480만원 약 24만원 약 15만원 약 519만원 30만원 720만원 약 36만원 약 25만원 약 781만원 50만원 1,200만원 약 60만원 약 36만원 약 1,296만원 자주 묻는 질문 (FAQ)
1. 두 상품을 동시에 가입할 수 있나요?
- 안 됩니다. 하나만 선택 가능하며, 중복 가입 방지를 위해 정부에서 신청시 자동 체크합니다.
2. 중도 해지하면 어떻게 되나요?
- 청년도약계좌: 정부기여금 전액 환수
- 청년희망적금: 정부이자지원 일부 축소
두 상품 모두 만기까지 유지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3. 어떤 은행에서 신청할 수 있나요?
- 청년도약계좌: 국민, 우리, 농협, 신한, 하나 등 시중은행 전부 가능
- 청년희망적금: 각 은행 앱에서 '청년희망적금' 검색하면 특판 적금 형태로 가입 가능
나에게 맞는 상품 확인하기
상황 추천 상품 장기적으로 큰 목돈 마련 원함 청년 도약계좌 단기 자금 확보가 우선 청년희망적금 소득이 낮고 여윳돈이 적음 청년희망적금 월 저축 여력이 40만원 이상 청년도약계좌 결론 - 정부지원 받으며 돈 모을 수 있는 최고의 기회
청년도약계좌와 청년희망적금은 둘 다 청년을 위한 정부에서 제공하는 재테크 선물같은 상품입니다. 단기냐, 장기냐와 소득 수준과 월 저축 여력에 따라 전략적으로 선택하면 수 백만원의 정부 지원금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아직 가입 안하셨다면 지금 각 은행 앱을 켜서 '청년도약계좌', '청년희망적금'을 검색해 보시길 추천드립니다. 놓치면 손해니 지금 바로 가입해보세요
이 글도 읽어보세요
▶ 고금리 적금상품 추천 TOP5 (2025년 5월 기준)
▶ 비상금 통장이 필요한 이유와 통장 추천 (2025년 5월 기준)
'재테크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전세 자금 대출 종류와 금리 비교 (청년, 신혼부부) (0) 2025.05.17 고금리 적금 상품 추천 TOP5 (2025년 5월 기준) (0) 2025.05.13 비상금 통장 필요한 이유와 어느 통장이 좋을까?(2025년 최신판) (0) 2025.05.11 2025 ETF 추천 TOP5 - 초보자도 안정적인 수익이 가능 (0) 2025.05.07 ETF 투자시 흔히 하는 실수 5가지 (예시와 해결방법) (0) 2025.0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