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상금 통장 대신 쓸 수 있는 금융상품 TOP5재테크 초보(샤회초년생)의 첫걸음 2025. 7. 20. 18:58
금리를 챙기면서 꺼내 쓰기 쉬운 금융상품 없을까?
비상금은 말 그대로 '급할 때 꺼내 쓸 수 있는 돈'입니다. 그런데 막상 비상금을 따로 만들어도, 금리가 너무 낮거나 생각보다 쉽게 써버려서 아쉬움을 느끼는 분들이 많습니다. 단순히 입출금 통장을 따로 만든다고 해서 비상금 역할을 제대로 하는 건 아니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비상금 통장 외에 어떤 금융상품을 활용하면 좋을까요? 오늘은 실제 활용 가능한 다섯 가지 금융 대안 상품과 함께 어떤 상황에 적합한지 구체적으로 알아보겠습니다.
1. 파킹통장
파킹통장은 이름처럼 돈을 '잠깐 주차해두는' 용도로 쓰는 통장으로, 일정 금액까지는 일반 예금보다 높은 금리를 제공합니다.
- 케이뱅크: 대표적으로 케이뱅크 통장은 최대 1,000만 원까지 연 3% 금리를 제공합니다.
- SC제일은행: SC 제일은행의 '마이줌통장'은 1,000만 원까지 연 3.2%의 이자를 제공합니다.
위 상품들은 특히 자주 입출금이 필요하지만, 이자도 놓치고 싶지 않은 분들에게 매우 유용합니다. 다만 대부분 일정 금액까지만 우대 금리가 적용되고, 그 이상은 일반 통장과 다를 바 없는 금리가 적용된다는 점은 유의해야 합니다.
2. CMA 통장
증권사에서 제공하는 CMA는 고객의 예금을 국공채나 기업어음 등에 투자해, 하루 단위로 이자를 붙여줍니다. 투자 성격이 있지만 위험도가 낮은 자산에 운용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 자금을 맡기기 좋고, 체크카드 연동도 가능해 실생활에서도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투자증권의 CMA는 RP형 기준으로 하루만 맡겨도 연 2.5% 이상의 수익률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예금자 보호는 적용되지 않으므로, 전체 비상금을 모두 넣기보다는 일부 자금만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3. 단기 정기예금
비상금 중 일부를 묶을 수 있다면, 1개월 ~ 3개월짜리 초단기 예금 상품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전략입니다. 요즘은 중소형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3개월짜리 예금에도 3~4%의 금리를 주는 상품이 많습니다.
예를 들어
- SBI저축은행의 '사이다뱅크 정기예금'은 3개월 기준 연 3.8%
- 웰컴저축은행의 'WON 정기예금'은 1개월 기준 연 3% 의 금리를 제공합니다.
물론 중도 해지 시 이자를 거의 받지 못할 수 있다는 단점은 있지만, 급하게 꺼낼 일이 적은 자금이라면 고려해볼 만한 선택지입니다.
4. 머니마켓펀드(MMF)
MMF는 증권사를 통해 가입하는 단기 금융 상품으로, 고객의 자금을 하루 단위로 운용해 이익을 돌려주는 구조입니다. 주로 국공채나 기업어음 같은 단기 안정자산에 투자하므로 안정성이 높고, 자금 유동성도 높은 편입니다. 미레에셋, 삼성, KB증권 등 주요 증권사에서 다양한 MMF 상품을 운영 중이며, 환매 시에는 보통 다음 영업일에 돈이 입금됩니다. CMA와 유사하지만, 더 적극적인 단기 투자에 가깝다고 볼 수 있습니다.
5. UX 기반의 숨겨두기 기능
최근 금융앱들은 돈을 '안 보이게' 만드는 설계를 통해, 소비를 자연스럽게 줄일 수 있도록 돕고 있습니다. 토스뱅크의 '모으기' 기능이나 카카오뱅크의 '세이프박스'는 메인 화면에서 비상금을 분리해두는 방식으로 심리적 소비 차단 효과가 큽니다. 실제로 이런 기능을 통해 "비상금을 모으긴 했는데, 안 보여서 안쓰게 되더라"는 후기가 많습니다. 금리는 낮지만 소비심리를 통제하는데는 탁월한 도구입니다.
마무리
결론적으로 비상금은 단순히 모아두는 것보다 어떻게 보관하느냐, 어디에 나눠 두느냐가 훨씬 중요합니다. 지금 소개한 파킹통장, CMA, 단기 예금, MMF, 앱 기반의 숨겨두기 기능은 각기 장단점이 뚜렷하므로, 상황에 맞게 분산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자주 꺼내 써야 할 돈은 파킹통장에, 몇 달간 건드리지 않을 돈은 정기예금에, 그리고 일부 자투리 자금은 CMA나 MMF에 굴리는 방식입니다. 소비를 줄이고 싶다면 토스나 카카오뱅크의 기능을 함께 활용해 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
비상금은 '꼭 있어야 할 때 반드시 꺼내 쓸 수 있는 돈'입니다. 오늘 소개한 다양한 상품을 잘 황용해서, 여러분만의 든든한 비상금 시스템을 구축해보시길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나는 차상위 계층일까? 차상위 계층 복지 혜택 총 정리(2025)
나는 차상위 계층일까? 차상위 계층 복지 혜택 총 정리(2025)
보통 일상 생활에서 정부 복지 지원에 대해서 이야기하면 나는 해당이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대부분의 정부 지원은 기초생활수급자나 장애인들에게만 해당되는 얘기라고
gatheringmoney.com
비상금 통장 필요한 이유와 어느 통장이 좋을까?(2025년 최신판)
비상금 통장 필요한 이유와 어느 통장이 좋을까?(2025년 최신판)
비상금 통장이 꼭 필요한 이유는?비상금 통장은 말 그대로 갑작스러운 지출을 대비해 따로 마련해두는 비상 상황용 예비자금을 보관하는 통장입니다. 예를 들어 급하게 병원비가 나가거나, 카
gatheringmoney.com
고금리 적금 상품 추천 TOP5 (2025년 5월 기준)
고금리 적금 상품 추천 TOP5 (2025년 5월 기준)
혹시 아직도 연 1~2%대 적금 들고 계신가요?2025년에도 여전히 은행 창구를 방문하면 연 1~2%대 적금 상품이 많이 존재합니다. 그런데 온라인에선 놀랍게도 연 5%대 적금도 가능하다는 사실 알고 계
gatheringmoney.com
'재테크 초보(샤회초년생)의 첫걸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상금 통장과 소비 통장, 왜 자꾸 헷갈릴까? (비상금 통장을 지키는 실천 대처 방법 5가지) (0) 2025.07.13 사회 초년생&재테크 초보가 많이 묻는 돈 관리 질문 모음 8가지 (FAQ) (0) 2025.05.26 ISA vs 연금저축 나에게 맞는 절세 계좌는 무엇일까? (0) 2025.05.25 재테크 초보들을 위한 ISA계좌 장단점 정리 (0) 2025.05.24 2025년 전세 자금 대출 종류와 금리 비교 (청년, 신혼부부) (0) 2025.05.17